반응형
스프링 부트
자바라는 언어로 만든 프레임워크
스프링
스프링 안에서도 좀 더 편안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스프링 부트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레시피가 존재한다.
준비 3가지
- 자바 설치
- 이클립스 설치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만들기 - 헬로월드
- spring initializr 에서 파일 만들기
- gradle project
- Artifact - 파일 이름임 = 패키지 이름
- dependencies =조리 도구들 ,
- web =웹을 사용 할수 있는 도구 ,
- h2 =데이터 베이스 조리도구,
-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JPA
- 화면을 만들기 위한 도구 =mustache
- 이클립스에서 해당 파일 열기
- src 디렉토리 - main - java -com.example.firstproject (메인 메소드 실행) → 화살표 또는 오른쪽 클릭
- html 파일이 없으면 에러가 뜸
- main- resource - static→ html 파일을 만들기 hello.html
- 아직 에러가 뜸 → 이유는 서버를 재시작해야함
웹서비스 동작 원리
- 클라이언트 (서비스 프로그램, 앱) → 서버(컴퓨터)
- 요청과 응답
- 톰캣 +8080(방에서 실행되고, 포트라 부른다.)
반응형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구축 방법 (0) | 2023.10.17 |
---|---|
스프링 부트 - homecontroller 만져보기 (0) | 2023.08.02 |
스프링 부트 정리 - 상속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