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코딩

Graph ql, Firebase data connect Firebase의 data connect 를 백엔드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Postgres Sql인줄 알았는데,,, Graph ql 이더라구요. 생소한 개념이라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GraphQL 개요 GraphQL은 페이스북에서 2012년에 개발되었으며, 2015년에 오픈소스로 공개된 데이터 쿼리 언어 및 런타임 환경입니다. 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요청 방식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REST API의 대안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특정 데이터만 요청할 수 있는 유연성, 데이터 과다/부족 문제 해결,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등이 특징입니다. GraphQL의 주요 특징 1.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만 요청 가능 • REST API는 여러 엔드포인트를 호출해야 하는 반면, GraphQL은 단.. 더보기
Flutter Bloc 공부 1 Bloc 상태관리 Bloc는 flutter의 상태관리 패키지 중 하나입니다.. 좋아요는 6400개 https://pub.dev/packages/flutter_bloc flutter_bloc | Flutter package Flutter Widgets that make it easy to implement the BLoC (Business Logic Component) design pattern. Built to be used with the bloc state management package. pub.dev 국내에서는 Getx가 많이 쓰이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Bloc가 더 많이 쓰이는 듯 합니다.. Flutter 해외 유투버 영상을 많이 찾아보고 있는데.. Bloc 찬양을...ㅎㅎ 그래서 현재 제 프.. 더보기
Flutter - supabase 회원가입 로직 구현 할 때 배웠던 개념들 Flutter 로 Supabase 를 이용해서 회원가입 로직을 구현 해보았습니다. 문제 해결 목표 원래 목표는 소셜 로그인 구글과 애플을 안드로이드, IOS 에 실행시키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하지만 결국 email - password로 왔네요. 2월에는 email- password로 하고 이후에 다시 소셜 로그인을 추가를 할 예정입니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배웠던 개념들 1. 안드로이드 - Mainifest , IOS - Inpo.Plist 안드로이드와 IOS 의 권한 부분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Flutter는 하나의 코드로 여러 플랫폼 구동이 가능한 프레임 워크이지만 결국 Flutter는 네이티브가 아닙니다. 여기서 네이티브는 안드로이드, IOS 같은 OS 개념입니다. 결국 각 OS에 맞게 권한 설정을.. 더보기
앱 개발자가 본 삼성 UI 6.0 업데이트 삼성에서 UI 6.0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저는 폴드 3를 사용 중 입니다. 앱을 만드는데 있어서 삼성의 변화가 관심 있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기능적인 부분은 유튜브나, 블로그에 많이 있습니다. 저는 디자인적으로만 적어보겠습니다. 이 사진 한장으로 설명이 가능 합니다. 1. 삼성의 기본 앱 이름이 "삼성" 글자가 사라졌습니다. 삼성 헬스 -> 헬스 2..가독성이 좋아졌습니다. 폰트의 색이 기존에는 애매했지만 지금은 제목은 두껍게, 내용은 얇게 처리되었습니다. 각 메세지의 구분이 좀 쉬워졌습니다. 3. 바탕화면의 앱아이콘의 사이즈가 커졌습니다. 결론 최근 70대 인구가 20대 인구를 추월했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삼성 UI 6.0은 노령화 인구를 위한 업데이트로 보여집니다. 앱 개발 시 폰트가 이쁜 것.. 더보기
비전공자가 이해하는 DB의 세계 이 글은 절대 전문적인 글이 아닙니다. 그저 제가 공부하면서 이해한 내용을 적은 글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세요. DB를 만들어야 한다면 먼저 고민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1. 어디에다 저장 할 것인가? 구현하고 싶은 앱에 따라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기 내부에 저장 해야 할지, 외부 서버에 저장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네카쿠라배 와 같은 앱들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저장을 합니다. 기업 정책에 따라 자체적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네이버도 있고, 다른 회사의 서버를 빌려서 운영하는 카카오 같은 기업도 있습니다. 보통의 IT회사들은 자체적으로 서버를 운영하기 보다는 AWS와 같은 클라우드 업체의 서버를 빌려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외부 서.. 더보기
Oauth2 코딩을 하면서 나는 그동안 세상을 단순하게 산 것 같았다. 로그인, 회원가입 관련 서비스들이 모두 다 똑같은 것이라는 생각을 한 것이 그것이다. 스타트업에서 근무 했을 때도, 회원가입- 로그인 로직은 어려웠다. 이번에 supabase를 공부할 때 드디어 회원가입- 로그인에 관한 내용을 조금이나마 이해 할 수 있었다. 그 중에 Oatuh2 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 Oauth2란? 기존에 이메일 로그인 방식, 그리고 여러 서비스의 API를 연동해서 유저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은 꽤 위험했다. A라는 작은 스타트업이 페북과 같은 대형 서비스 API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페북에 있는 유저들의 중요한 개인정보도 가져왔다. 해커들은 A 스타트업을 공격하면 쉽게 해당 유저의 중요한 개인 정보를 가져 올 수 있었다. .. 더보기
피그마 무료 템플릿 사이트 https://www.freefigmatemplates.com/mobile-app-interfaces-8 더보기
카카오 오븐 - 간단한 앱 기획 할 때 좋은 듯! https://ovenapp.io/project/NEJCToV9oPmmkwkQcBs5PvHcAJ3q8b03#rx77v Oven ovenapp.io 회사에서 수익 구조 관련한 기획을 하고 있어서 이래저래 어플을 찾고 있는데 오...좋은 것 같습니다. 피그마는 기능이 많아서...되려 어렵게 느껴지는데 카카오 오븐은 어플에 자주 쓰이는 위젯을 미리 만들어서 애니메이션까지 구현 해놨음 팀원들에게 어떠한 느낌으로 앱을 기획했는지 설명 할 때 요거 요거 요물일 듯..! 대신 이 카카오 오븐 서비스가 2017년에 시작했는데 아직 beta임...고로 언제 서비스 종료 될 지 아무도 모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