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배민

24년 11월 배달이슈+ 배달 상생협의체 결과 "실패" 너무나 어지러운 시기입니다. 배달하시는 사장님들에게 이 상황을 이해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24년 10월 배달앱 이용자 수 변화 최근 배달앱 시장의 판도 변화가 눈에 띄고 있습니다. 특히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의 경쟁 구도는 많은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오늘은 각 배달앱의 최근 사용자 수와 결제금액 추이를 중심으로 시장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배달의민족 – 여전히 강자, 하지만 역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배달의민족은 현재까지 사용자 수 기준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4년 10월 사용자 수는 약 2207만 명으로, 이는 전체 배달앱 사용자 중에서도 압도적인 수치입니다. 다만 최근 사용자 수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으며, 결제금액도 월 1조 원대에서 정체되는 .. 더보기
배달 상생협의체 회의 11차 요약 : 합의 실패 11차 회의에서도 핵심 쟁점이었던 수수료율 개선안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약 100일간의 논의 끝에 수수료 합의는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보입니다. 플랫폼사 제안 내용   배달의민족-중개수수료를 거래액 기준 3구간으로 나눠 2.0~7.8%로 낮추는 차등수수료 방안 제시-배달비는 거래액에 따라 1900원에서 3400원으로 책정-전통시장 중개수수료 0% 정책을 전국으로 확대 제안-단, 쿠팡이츠의 동일 수준 상생방안 시행을 전제 조건으로 제시 쿠팡이츠- 거래액을 6구간으로 나눠 2.0~9.5%의 차등수수료 제안- 배달비를 2900원으로 단일화하고, 거래액 상위 50%에 추가 할증 비용 부과 계획 공익위원 입장공익위원들은 양사가 제시한 상생안이 다음과 같은 '중재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더보기
24년 배민, 쿠팡이츠, 요기요 + 세금 이슈 정리 저는 오랫동안 자영업을 해왔고 현재는 사장님을 위한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매일 배달이나 세금, 특허 등등 사업에 관련 된 내용을 확인하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런 저도 올해만큼 정신 없는 해는 또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배달시장은 그야말로 "혼돈" 그 자체 였습니다. ​2024년이 3개월이 남은 이 시점에 올 한 해를 돌아보고, 앞으로 2025년을 어떻게 사업을 진행하는게 좋은지에 대해 사장님 모두 고민을 해보셨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말 장사하기 힘든 시기입니다. 하지만 이런 위기에서 살아남는다면 그 시장에서 독보적으로 성장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사장님의 생존을 응원하겠습니다. ​​최대한 시간 순서대로 작성했습니다만 시차가 조금 어긋나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내용의 연.. 더보기
배민클럽 정리 그리고 제 개인적인 의견 배민클럽 내용 정리해 보았습니다. 글 끝부분에 배달음식점을 운영했던 한 사람으로서 제 개인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배민클럽 뭐임? 배달앱 정책은 고객님 관점, 사장님 관점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이해하기가 편합니다.  고객님 관점에서는 배민클럽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민클럽은 쿠팡 와우회원처럼 월 구독료를 받고 여러 혜택을 주는 새로운 광고 상품입니다. 쿠팡은 월 7,890원을 내면 쿠팡, 쿠팡이츠, 쿠팡플레이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혜택을 받거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민은 쿠팡보다는 서비스 범위가 훨씬 적습니다. 그래서 아직 고객님들께 월 구독료를 받지 않고 "임시 체험" 형태의 서비스로 현재 배민클럽을 출시하였습니다.  고객님이 배민에게 월 구독료.. 더보기
배민 배달비 무료... 왜 이런 상황이 된 걸까? 얼마전 쿠팡이츠가 다건 배달에 한해서 무료배달을 시작하였다. 역시 배민도 질세라 알뜰배달을 무료배달을 시작한다는 기사가 떴다.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서는 배달앱 무료로 배달 주문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 반, 수수료 때문에 영업이 힘들다는 우려 반이다. 왜 이런 일이 생긴걸까 나는 근본적으로 배달앱들이 고객님이 주문 -> 배달앱이 주문 접수 후 음식점에 전달 -> 배달음식점에서 주문 접수 -> 주문한 음식을 고객님에게 배달 위 과정을 다 통제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생겼다고 생각한다. 기존에는 배달은 매장에서 직접 가거나, 배달대행 업체를 통했었다. 하지만 단건 배달 이후에는 배달앱이 기사들 까지 배차를 해주는 상황인거다. 이런 상황에서 배달앱들은 매장에서 받는 배달비를 높게 받고, 기사들에게 배달비.. 더보기
배민의 횡포 https://cafe.naver.com/jihosoccer123?iframe_url_utf8=%2FArticleRead.nhn%253Fclubid%3D23611966%2526articleid%3D2465175 아프니까 사장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 : 네이버 카페 소상공인 자영업 창업 커뮤니티 cafe.naver.com 나는 아프니까 사장이다 까페에 글을 많이 썼다. 배달음식점을 그만두고 앱개발을 공부해서 스타트업에 취업한 이후로는 배민을 잘 키지 않았다. 최근 부산 출장 길에 숙소에서 오랜만에 배민을 열었더니 와우 사장님들 가게에다가 저런 상스러운 배너를 집어넣고 있었다. 과연 이게 옳은 것일까..? 배민 넌 꼭 그래야만 했냐.. 더보기
배민 카테고리 쪼개기 공론화 https://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112 배민, 매출 1조원 돌파 알고보니?…“카테고리 쪼개기로 수수료 수입 증가” -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왕보경 기자】 배달플랫폼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이 지나친 주문 ‘카테고리 쪼개기’로 플랫폼 이용사업자의 부담을 가중한다는 지적이 나왔다.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 www.ntoday.co.kr 배달업을 하면서 불합리하다고 느꼈던 부분들이 드디어 공론화 되기 시작하는 것 같다. 음식 단가가 높은 카테고리를 최우선으로 배치하고 굳이 나눠야 하는 카테고리를 쪼개고 고객들은 더 많은 것을 고민을 하게 만드는... 배달업 사장님들은 더 많은 광고를 하게 만드는... 배달음식점이 소자본 창업은 맞지만 정.. 더보기
배민의 배민 스토어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369 성장 한계 퀵커머스, 배달의민족에 쏠리는 눈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배달의민족이 종합 커머스몰을 위한 외연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 라이브커머스, 웹툰과 같은 서비스를 접고 본연의 정체성인 배달에 주력하는 것이다. 배민은 쿠팡 로 www.sisajournal-e.com 쿠팡에는 로켓 그로스라는 시스템이 있다. 개인 판매자, 또는 중소 유통기업이 물건을 쿠팡에 보낸다. 쿠팡은 해당 물건을 잘 보관하고 있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쿠팡맨을 통해서 배송을 한다. 이 시스템은 윈윈이라고 생각한다. 개인 판매자는 생산만 생각하고 쿠팡은 마케팅, 재고 보관, 배송..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