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lutter-플러터

Flutter getx ui 렌더링 적용이 안될 때 Getx 는 Flutter 상태관리 중 하나이다. 편하다. 너무 편하다. 개발을 하던 중에 .obs 로 선언한 변수를 ui에 끌어다가 썼는데 바로 적용이 안된다. 핫 리로드를 하면 또 바뀐다. 즉 해당 .obs의 변수를 즉각적으로 감지를 못한 다는 이야기이다. 이 때 수동으로 직접 새로고침을 통해 변환 시켜주는 방법이 있다. 바로 refresh() 함수를 이용해서 바꿔주면 된다. Widget categoryboar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Container( width: double.infinity, height: 50.h, child: ListView.builder( physics: BouncingScrollPhysics(), scrollDirection: Axis.ho.. 더보기
Postman 포스트맨은 API 를 이용한 앱을 만들 때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아주 정말 진짜 너무 좋은 사이트 이다. 아래 페이지에 접속~! https://web.postman.co/ 1. 워크 스테이션으로 이동 2. api 주소를 입력하고 키값과 벨류 값을 넣고 샌드를 보내면 끝 아 물론 앱에 인증이 필요 하면 인증 토큰도 입력해주면 된다. Get , Post, Update, Put , Del 여러 메서드도 가능... 세상 너무 좋아졌어 나는 앱에 필요한 데이터를 API에 직접 입력해야 해서 Post를 씀! 더보기
Flutter m1,m2 pod install 펌 https://dev-repository.tistory.com/120 m1, m2 맥에서 Pod install 오류로 Flutter iOS 빌드 안 될 때 Flutter 프로젝트로 iOS 앱을 빌드할 때, m1, m2 맥 기기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다음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Flutter 프로젝트 루트 경로에서 다음처럼 입력하면 된다. sudo arch -x86_64 gem install ffi cd ios r dev-repository.tistory.com 플러터는 크로스 플랫폼이다 개발 할 때는 편한데 빌드, 배포 할 때는..... 두 플랫폼을 신경써야 하니 결국 힘들다 '' 더보기
Flutter 카카오맵 - 타다 참고 https://medium.com/%EC%A1%B0%ED%98%84%EC%B2%A0%EC%9D%98-%EA%B0%9C%EB%B0%9C%EB%A1%9C%EA%B7%B8/flutter-ui-%ED%83%80%EB%8B%A4-tada-%EC%95%B1-5aa699585c1f Flutter UI - 타다(TADA) 앱 안녕하세요! 오랜만의 포스팅 이네요. 지난 번 카카오 지도 글을 마지막으로 새로운 곳으로 이직을 하게 되어 포스팅을 오랫동안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대로 있다가는 올해가 다 지나도 포스팅 medium.com 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더보기
Flutter - API패키지 dio와 http 차이 dio와 http는 Dart 언어를 위한 패키지로, 둘 다 HTTP 요청을 다루는 라이브러리입니다. Flutter에서 웹 서비스와 통신할 때 사용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라이브러리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기능의 풍부함: dio: dio는 http보다 기능이 풍부하며, 요청 취소, FormData, Response 인터셉터, Global(전역) 인터셉터,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등과 같은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http: 기본적인 HTTP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dio보다 간단한 사용 사례에 적합합니다. 유연성: dio: 맞춤 인터셉터를 추가할 수 있어 HTTP 요청 및 응답을 쉽게 수정하거나 검사할 수 있습니다. http: 이런 유연성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에러 처리: dio: .. 더보기
Flutter- http 분기처리 "status분기처리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사용"이라는 표현은 주로 HTTP 요청의 결과에 따른 상태 코드(status code)를 따로 처리하지 않아도 될 때 해당 메서드나 기능을 사용하라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HTTP 요청의 결과로 다양한 상태 코드(200, 201, 400, 404, 500 등)가 반환될 수 있습니다. 각 상태 코드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클라이언트 오류로 실패했는지, 서버 오류로 실패했는지 등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때로는 이러한 상태 코드에 따라 다르게 앱의 동작을 제어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이렇게 상세한 처리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데이터를 가져오기만 하고 성공/실패 여부만 알고 싶다면 상태 코드에 따른 분기처리를 하지 .. 더보기
Flutter Stack 과 Container GPT 선생의 답변 어떤 방법이 옳은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미세한 위젯들의 위치를 조정하고 싶다면 Stack 여러 위젯들의 간격정도만 조절 하고 싶으면 Container +Column,Row `Stack` 위젯과 `Container`와 함께 사용되는 `Column` 및 `Row` 위젯은 Flutter 앱 디자인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각각의 사용 사례와 특징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둘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지는 사용하려는 상황과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1. **Stack**: - 주로 여러 위젯을 겹치게 배치할 때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 이미지 위에 텍스트 레이블을 표시하거나 배경 이미지 위에 위젯을 배치하는 등의 경우에 유용합니다. - `Stack`은 자식 위젯들.. 더보기
Flutter - Http get, post 회사에서 회원 가입 로직을 만들고 있다. API 다뤄 보지 못한 내가......... 너무 힘들다. 기존 코드로 잘 짜맞춰서 하고 있긴 한데 기본도 없으니 뭐가 뭔지 모르겠다. 그래서 지금 깃허브에 있는 flutter 로그인 코드를 클론코딩 하고 있다. 하다보니 get, post 함수가 눈에 많이 띈다. get, post 는 API를 받아 올 때 가장 많이 쓰이는 함수이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동일한 요청을 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 것인가? 동일한 요청에 동일한 결과가 나오면 get 동일한 요청에 다양한 결과가 나오면 post 이렇게 쓰면 된다. 단순히 API를 통해 정보를 조회하거나 검색 용도로 쓴다면 get 새로운 정보를 주입하거나 요청할 때는 post 이다. Get 사용방법은 get은 쿼리..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