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8

플러터 Stateful 위젯의 생명주기 ?? 비전문가인 내가 플러터를 배우는 모든 순간이 위기이다. 오늘의 위기는 Stateful 과 Stateless 위젯의 차이점의 대한 이해이다. 코딩책을 읽다보면 정말 고이고 고인 분들이 코딩의 세계를 만들었다는게 느껴진다. 어플을 만들기 위해서는 화면을 꾸며야 한다. 요즘 대부분의 어플들은 화면에 정적인 정보보다는 동적인 정보도 같이 제공해주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날씨어플, 실시간으로 버스 동선, 비트코인의 쉼 없이 움직이는 그래프 등등 이러한 동적인 정보를 화면에 구성하기 위해서는 Stateful 위젯을 사용해야 한다. Stateful 위젯에 대해서 알아보는 중 "생명주기" 라는 단어가 날 더 혼란스럽게 했다. 내가 이해한 바로는 Stateful 위젯의 생명주기 == 정해진 실행순서 이다. 곰곰히 생각.. 2022. 9. 21.
내가 이제 막 코딩을 접하는 친구에게 코딩을 설명한다면? © weareprocreator, 출처 Unsplash 나는 #숨고 라는 어플을 통해서 1:1 코딩 교육을 받았다. 과외선생님은 KT에서 AI 알고리즘을 짜는 대단한 분이셨다. 문제는 과외선생님과 나의 지식의 갭이 너무 크다보니 내가 선생님 설명의 10%도 이해를 못한다는 것이다. 다시금 느낀게 공부를 잘하는 능력과 공부를 잘 가르키는 능력이 같지는 않다는 것이다.. 수업 첫 날 코딩의 코자도 모르는 나에게 백준 홈페이지에 들어가 문제를 풀게하셨다...(대혼란 환장파티) 수업때마다 과외선생님의 "왜 이걸 이해못하지???" 표정을 볼 때마다 죄책감만 들었다.. 무튼 내 주변에 코딩을 이제 막 시작하는 친구가 있다면 난 코딩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해주고 싶다. 컴퓨터는 숫자 0과 1 밖에 인식을 하지 못한다... 2022. 9. 18.